佛 노르망디 사과농협
‘바이오’ 인증땐 고소득… ‘친환경 농법’이 대세
2일(현지 시간) 프랑스의 수도 파리에서 차로 2시간가량 달려 도착한 노르망디 지역. 끝없이 펼쳐진 들판과 맑은 공기, 쏟아지는 햇살이 인상적인 전형적인 유럽 농촌지역이다.
이런 시골길을 30분가량 더 달려 도착한 곳은 구엘로 에마뉘엘 씨(43)의 사과 농장이다. 그는 노르망디에서 총 150ha 규모로 농사짓고 있다. 사과 밭이 50ha, 초지가 65ha, 옥수수 밭이 35ha이다. 초지와 옥수수 밭은 그가 사과밭과 함께 키우고 있는 소 60마리, 송아지 40마리의 사료를 재배하기 위한 땅이다. 유럽연합(EU)에서는 축산농가들이 소 1마리당 의무적으로 초지 1ha를 확보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의 농장은 말 그대로 ‘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펼쳐져 있었다. 한국 농가들의 평균 경지면적이 1.5ha인 것을 고려하면 100배나 넓은 땅이었다. 하지만 에마뉘엘 씨는 “프랑스에서 이 정도는 전혀 큰 농장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까르푸 같은 유통업체들이 유럽 전역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걸 생각하면 이런 농장들이 수백 개씩 힘을 합쳐도 부족하지 않겠어요?”